이번 KBSPD협회보 180호(2009년 10월 21일자)에 실렸다. 참 오랜만에 블로그에 포스팅해본다.
왜 HULU.com이라는 동영상 사이트가 불과 1년이라는 짧은 시간만에 u-tube에 버금갈 만큼 성공을 거두고 있는가? Microsoft가 yahoo에 제시한 45억달러의 인수제의는 적절하게 평가된 가치인가? 10년이 넘는 직장생활, 그 나이에 무슨 공부냐는 주변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매일매일 반복되는 케이스와 쉴새 없이 쏟아지는 과제들, 새벽까지 이어지는 팀프로젝트 등 혹독한 MBA생활을 시작한지도 이제 10개월이 훌쩍 지나가고 있다. 이 길지 않은 10개월의 시간이 그 동안 해왔던 나의 일과 내가 서 있는 곳을 다른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게 해주고 있는 것 같다. .
케이스, 케이스, 케이스
기억에 남는 아이템 중 하나가 지난 학기 산업분석이라는 과목의 발표 과제로 다루었던 애플케이스다.
콘텐츠 하나를 더 팔아서 수익을 보겠다는 짧은 시각이 아닌 아예 산업의 구조자체를 새롭게 만들어내는 전략이다. 환경 전반에 대한 분석과 내부역량을 바탕으로 창조적인 미래 전략을 도출해내는 과정이 다큐를 완성해나가는 논리적 전개방식과 무릇 흡사하다.
구성원들의 다양한 배경
케이스 분석이나 프로젝트는 팀구성원들의 토론을 통해 이루어진다. 내가 공부하고 있는 과정에는
PD는 CEO다
이런 과정을 거치면서 계속해서 내가 느끼는 점은 경영(management)과 프로그램 제작은 비슷한 공통 분모가 아주 많다는 것이다. 경영은 책임을 가진 CEO를 중심으로 회사의 구성원들과 함께 최상의 서비스와 재화를 만들어 이익을 극대화하는 과정이다. 이를 위해 신규비즈니스모델을 개발하고, Financing을 해야 하며, 효율적인 조직관리와 생산라인을 최적화해야 한다.
마찬가지로, 제작도 프로그램의 책임을 가진 연출자를 중심으로 작가, 출연자 등이 모여 시청자를 위한 최상의 프로그램을 만들어 채널의 브랜드를 높이는 과정이다. 기획을 하고, 한정된 제작예산을 효율적으로 배부해야 하며, 적재적소에 스텝들을 배치시켜야 한다. 같이 일하는 스텝들의 사기도 최상으로 만들어야 하는 과정을 갖게 된다.
그런 점에서 제작 현장에서 갖는 고민과 CEO들이 회사를 운영하면서 갖는 고민들은 같은 맥락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지 않을까 싶다. 그런 면에서 ‘PD들은 모두 CEO’다.
훌륭한 CEO의 조건
CEO나 제작PD나 모두 자신의 의사결정에 따라 결과물이 다르게 나온다. 2007년, LG 경제연구원에서 훌륭한 CEO의 조건으로 다음과 같은 덕목을 꼽았다. 앞을 예측하는 선견지명과 미래를 결정하는 창의성, 훌륭한 인재를 선발하는 용병술, 구성원을 감동시키는 따뜻한 인간미, 새로운 것에 대한 배움의 열정, 조직을 생기 있게 하는 넘치는 활력, 정도를 걷는 정직함과 도덕성, 사회적 책임이 그것이다. 이와 더불어 얼마 전에 알게된 흥미로운 사실은 1955년 국내 100대기업 중 50년 후인 지금 현재 살아남은 기업은 단 7개뿐이라는 사실이었다. 그리고, 포춘지는 세계 100대기업 중에 앞으로 40년 후 4%만이 생존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훌륭한 CEO의 이야기나 생존기업에 관한 이야기나 그 의미는 단지 회사에만 국한 되는 것만은 아닐 것이다. 내가 만들고 있는 프로그램도 내가 속해 있는 조직도, 그리고 구성원 개인도 모두 해당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 글을 읽는 PD들이 모두 훌륭한 CEO가 되기를 바란다.